본문 바로가기

여성학 심리학 & 육아14

정서지능 높은 아이로 키우는 대화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정서지능 높은 아이로 키우는 대화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1. 감정을 존중하는 말, "그럴 수 있어"아이가 울거나 짜증을 낼 때, 우리는 종종 "왜 그래?", "그만 좀 해!"라고 반응하게 됩니다. 하지만 정서지능이 높은 아이는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이를 건강하게 표현할 줄 아는 아이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해 주는 말, 예를 들어 “그럴 수 있지”, “화날 수도 있겠네”는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러한 언어는 아이에게 감정 표현의 자유를 주고, 자기감정에 책임질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도와줍니다.2. 감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언어 사용아이가 감정을 단순히 "좋아", "싫어"로만 표현할 경우, 정서의 폭이 좁을 수 있습니다.. 2025. 7. 17.
아이 자존감의 70%는 부모의 말에서 온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부모의 말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아이가 자주 위축돼요.”“칭찬을 많이 해주는데도 자신감이 없어요.”“사소한 일에도 죄송하다고 해요.”많은 부모들이 아이의 자존감 문제로 고민합니다. 하지만 그 원인을 멀리서 찾기보다는, 가장 가까운 ‘부모의 말’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실제로 심리학에서는 아이의 자존감 형성의 약 70% 이상이 부모의 언어와 반응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 아이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말은 친구나 교사가 아니라 부모의 입에서 나오는 말입니다.이 글에서는 부모의 말이 왜 그렇게 중요한지, 자존감을 높이는 말과 떨어뜨리는 말의 차이는 무엇인지, 그리고 일상에서 어떤 언어 습관을 길러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1. 자존감이란 무엇인가?아이가 세상을.. 2025. 7. 15.
자기 돌봄이 왜 여성에게 더 필요한가 안녕하세요. “나는 왜 이렇게 자주 지치는 걸까?”“쉬어도 쉰 것 같지 않고, 자꾸 감정이 바닥나는 기분이야.”많은 여성들이 일상 속에서 감정적 피로를 반복적으로 경험합니다. 겉으로는 괜찮아 보여도 내면은 이미 소진되어 있고, ‘나를 위한 시간’은 항상 미뤄지기 일쑤입니다. 오늘은 여성에게 자기 돌봄(self-care)이 왜 절실히 필요한지, 그리고 감정 소진과 회복탄력성(resilience)의 관계를 중심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겠습니다.1. 여성은 왜 더 많이 지치는가? – 감정노동의 일상화여성은 다양한 삶의 역할 속에서 감정노동을 반복합니다. 가정에서는 ‘좋은 엄마’, 직장에서는 ‘따뜻한 동료’가 되기를 기대받으며, 그 기대는 대부분 감정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나타납니다.예를 들어:화가 나도 웃어야 하고.. 2025. 7. 12.
엄마’ 말고 ‘나’로 살기 – 여성의 자기정체성 찾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이를 낳고 나서 나는 누구인가를 자주 묻는다.”“누구의 엄마가 아닌, 나 자신으로서의 삶은 언제 가능한 걸까?” 많은 여성들이 출산과 육아를 경험하면서 겪는 정체성 혼란은 단순한 일시적 감정이 아니라, 삶의 전환기에 나타나는 심리적 갈등입니다.여성은 어느 순간 '엄마'라는 새로운 정체성으로 불리기 시작하면서, 그전까지 자신을 규정했던 여러 역할들이 희미해지는 것을 경험합니다. 오늘은 여성심리학의 시각을 바탕으로, ‘엄마’라는 역할을 넘어 한 인간으로서의 ‘나’로 살아가는 방법과 회복의 과정을 함께 고민해보려 합니다.1. 엄마가 되면 나를 잃어야 할까?출산은 생리적인 변화뿐 아니라 정체성의 대변화를 일으킵니다. 이전에는 직장인, 연인, 친구 등 다양한 정체성이 있었던 여성이 어느 순.. 2025. 7. 11.
완벽한 엄마 콤플렉스에서 벗어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좋은 엄마가 되어야 한다.” “아이에게 부족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화내지 말고, 언제나 따뜻해야 한다.” 많은 엄마들이 이처럼 완벽한 엄마상에 스스로를 가두며 힘겨운 양육을 하고 있습니다. 육아라는 이름으로 스스로를 끝없이 몰아붙이며, 정작 자신의 감정과 욕구는 외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 글에서는 현대 엄마들이 자주 겪는 ‘완벽한 엄마 콤플렉스’의 심리적 배경과 그로 인한 문제점, 그리고 벗어나는 현실적인 방법들을 여성심리학 관점에서 다뤄보겠습니다.1. 완벽한 엄마 콤플렉스의 정체: ‘좋은 엄마’는 누구의 기준인가?‘완벽한 엄마 콤플렉스’란, 자녀에게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강박적인 믿음과, 그 기준에 미치지 못했을 때 스스로를 부족하고 무가치하게 여기는 심리 상태를 말합니다... 2025. 7. 10.
모성본능과 육아행동의 관계 안녕하세요. 오늘은 모성본능과 육아행동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모성본능"이라는 단어는 오랫동안 여성과 육아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개념처럼 사용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현대 심리학, 특히 여성심리학에서는 모성본능을 단순히 본능으로 환원하지 않고,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요인과 함께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여성심리학 관점에서 모성본능과 실제 육아 행동의 관계를 분석해 보고, 그 복합적인 심리를 들여다보려 합니다.1. 모성본능은 선천적인가, 사회적 학습인가?사람들은 종종 "여자는 본능적으로 아이를 사랑하고 돌보게 되어 있다"라고 믿습니다. 이를 우리는 흔히 모성본능(maternal instinct)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여성심리학에서는 이 개념을 단순히 생물학적인 본능으로만 보지 않습니다.분.. 2025.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