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17

자해 행동의 심리적 강화작용 자해 행동의 복잡한 심리적 메커니즘자해(Self-harm) 행동은 심리적 고통을 신체적 고통으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우울증,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많은 사람들은 자해를 단순한 충동적 행동이나 극단적인 감정 표현으로 이해하지만, 실제로는 강력한 심리적 강화 작용이 개입되어 있다. 즉, 자해 행동이 일시적으로 감정적 고통을 줄이거나 심리적 안정을 주기 때문에 반복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자해 행동이 어떻게 심리적으로 강화되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기제가 작용하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것이 있는지 알아보겠다.자해 행동이 지속되는 심리적 이유1. 부정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와 자해심리학에서 ‘부정적 .. 2025. 2. 1.
연애 프로그램이 대중에게 사랑받는 이유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솔로지옥' 이라는 연애 리얼리티 프로그램이 시즌4가 공개되었습니다. 이렇게 대중들이 연애 리얼리티를 좋아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연애 프로그램의 인기 현상최근 몇 년간 연애 프로그램은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의 '하트시그널', '솔로지옥'부터 미국의 '러브 아일랜드', 일본의 '테라스 하우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가에서 연애 리얼리티 쇼가 제작되며, 대중들의 열렬한 반응을 얻고 있다. 사람들은 왜 남의 연애를 지켜보는 것에 열광할까? 오늘은 심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연애 프로그램이 대중에게 사랑받는 이유를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연애 프로그램이 주는 심리적 만족1. 대리 경험과 감정 이입 (Empathy & Parasocial Re.. 2025. 2. 1.
에릭슨의 발달이론이 양육에 미치는 영향 에릭슨의 발달이론은 8단계로 나눠져 있습니다. 나이에 맞게 발달되어야 하는 키워드가 있습니다. 그 키워드를 생각하며 양육하면 도움이 됩니다. 당신의 아이는 몇살입니까? 그 나이에 해당하는 발달의 기회를 주고 있는지 알아봅시다.1. 에릭슨의 발달 단계와 신뢰감의 기초 형성에릭슨은 인간 발달을 8단계로 나누며, 각 단계에서 특정한 심리사회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첫 번째 단계는 영아기(출생~18개월)로, 주요 과제는 "신뢰 대 불신"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는 부모나 양육자로부터 일관된 사랑과 돌봄을 받을 때 신뢰감을 형성하며, 이는 이후 모든 대인관계의 기초가 됩니다.부모가 아이의 울음과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고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면, 아이는 세상이 안전하고 자신이 보호받고 있음을 느낍니.. 2025. 1. 31.
심리적 경계 설정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오늘은 심리적 경계 설정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에서는 혼자 살수 없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관계로 인해 상처 받기도 하고, 행복을 느끼기도 합니다.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헤서는 심리적 경계 설정이 필요하다고 하는데요.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우리는 왜 심리적 경계가 필요한가?우리는 살아가면서 수많은 관계를 맺는다. 가족, 친구, 연인, 직장 동료, 심지어는 낯선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우리는 감정적으로 얽히게 된다. 하지만 모든 관계에서 우리가 똑같은 에너지를 쏟고, 똑같은 방식으로 소통할 수는 없다. 어떤 관계에서는 상대방의 요구를 무리해서 들어주다 보면 정작 내 자신이 지치거나 힘들어질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심리적 경계(심리.. 2025. 1. 31.
어린 시절 상처가 연애에 미치는 영향 – 이마고 이론을 중심으로 안녕하세요. 우리의 인간관계 중에 연인, 부부 관계가 큰 비중을 차지 합니다. 하지만, 가장 많이 싸우기도 하고 친밀하기에 상대방의 마음을 잘 모를때가 많지요. 오늘은 이마고 이론을 통하여, 어린시절 나의 상처가 연애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이마고 이론이란? - 우리의 연애 패턴을 결정하는 무의식적 설계도이마고 이론(Imago Theory)은 우리가 어린 시절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애와 인간관계를 형성한다는 심리학적 개념이다. "이마고(Imago)"라는 단어는 라틴어로 ‘이미지(image)’를 의미하며, 이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형성한 이상적인 사랑의 틀을 뜻한다. 이마고는 주로 어린 시절 부모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며, 성인이 되어 연애를 할 때 이러한 무의식적 패턴이 반복된다. 예를 들어, .. 2025. 1. 31.
도파민: 우리의 뇌를 움직이는 숨은 동기 안녕하세요. 요즘 '도파민'이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고 계시죠? 보상과 동기부여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잘 알려져 있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삶의 질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어요. 단순히 "행복 호르몬"이라고 생각하기엔 도파민이 가진 영향력은 훨씬 크죠. 오늘은 도파민이 우리의 뇌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이를 건강하게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도파민이란?도파민은 뇌의 보상 시스템과 깊이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이에요. 우리가 좋아하는 음식을 먹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 기분이 좋아지는 이유가 바로 도파민 덕분이죠. 하지만 단순히 "기분을 좋게 하는 물질"이 아니라, 우리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고, 끈기를 갖도록 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해요.도파민과 동기부여의 관계도파민은 단.. 2025. 1. 31.